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FVG, OTE, BOS 개념

by write5613 2025. 3. 27.
반응형

FVG(Fair Value Gap)

FVG는 "Fair Value Gap"의 약자로, 시장이 빠르게 움직이는 과정에서 생성된 공정 가치 격차를 의미합니다. 이는 특정 가격 구간에서 매수와 매도가 균형을 이루지 못해 발생한 비효율적인 가격 영역을 나타냅니다. 간단히 말해, FVG는 거래되지 않은 영역 또는 불균형이 발생한 가격 구간을 지칭합니다. 이러한 비효율적인 구간은 보통 나중에 가격이 다시 되돌아와 메워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3개의 연속적인 캔들에서 첫 번째 캔들의 고가와 세 번째 캔들의 저가 사이에 두 번째 캔들의 몸통이 닿지 않거나 겹치지 않는 경우, 그 구간이 바로 FVG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가격 차이가 생기는 이유는 시장이 너무 빠르게 움직이면서 매수자와 매도자가 충분히 거래를 수행할 기회를 갖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FVG는 트레이딩 전략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가격이 FVG 영역에 되돌아왔을 때 매수나 매도 기회를 모색하는 데 사용됩니다. FVG는 지지선이나 저항선처럼 작용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해 진입 시점과 청산 시점을 보다 정확히 설정할 수 있습니다. FVG를 발견하면 시장이 해당 구간을 메우려는 움직임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OTE(Optimal Trade Entry)

OTE는 "Optimal Trade Entry"의 약자로, 최적의 매매 진입 구간을 뜻합니다. 이는 피보나치 되돌림 도구를 이용하여 가격 조정 구간 중에서 가장 적합한 진입점을 식별하는 데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0.62에서 0.79 사이의 피보나치 되돌림 비율 구간이 OTE로 간주됩니다.

트레이딩 과정에서 OTE를 활용하려면 먼저 스윙 고점과 스윙 저점을 확인하고, 이 두 점을 기준으로 피보나치 되돌림을 적용합니다. 이후 가격이 0.62~0.79 사이의 구간에 도달했을 때 추세 방향으로 진입할 수 있는 기회를 모색합니다. 예를 들어, 상승 추세에서는 가격이 해당 구간에 도달하면 매수, 하락 추세에서는 매도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OTE는 단순히 수치를 활용한 진입 도구가 아니라, 시장 구조와 유동성을 고려한 매매 전략으로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SMC(Smart Money Concept) 트레이딩에서는 OTE 구간을 리퀴디티를 먹은 후 진입하기 위한 최적의 장소로 자주 사용합니다. 또한 RSI나 다른 보조 지표와 함께 OTE를 분석하면 더 높은 정확도로 매매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BOS(Break of Structure)

BOS는 "Break of Structure"의 약자로, 시장 구조가 무너졌음을 나타냅니다. 즉, 이전 고점이나 저점을 돌파하며 기존의 시장 흐름이 바뀔 수 있는 신호로 해석됩니다. BOS는 기존의 추세가 끝나고 새로운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시작될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시장 구조의 붕괴는 상승 추세와 하락 추세에서 각각 다르게 나타납니다. 상승 추세에서 이전 고점을 돌파하면 BOS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며, 이는 상승 구조의 지속 가능성을 암시하거나 새로운 하락 구조로의 전환 신호가 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하락 추세에서 이전 저점을 돌파하면 하락 구조가 붕괴되었음을 뜻하며, 새로운 상승 구조로 전환될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BOS는 단독으로 매매 신호를 제공하기보다는, 추가적인 유동성 청산(LIQ), FVG, OTE와 같은 요소들과 결합하여 분석하면 더욱 신뢰도가 높아집니다. 시장 구조의 붕괴를 확인한 후, 추가적인 지표를 통해 해당 신호가 진입과 청산의 적절한 타이밍을 제공할 수 있는지 판단해야 합니다.

 

결론 및 요약

FVG(Fair Value Gap): 시장의 비효율적인 가격 영역으로, 이후 가격이 되돌아와 메워지는 경향이 강한 구간입니다.

OTE(Optimal Trade Entry): 피보나치 되돌림을 이용해 최적의 진입 지점을 찾는 도구로, 0.62~0.79 구간을 주로 사용합니다.

BOS(Break of Structure): 이전 고점이나 저점을 돌파하면서 시장 구조가 붕괴되고 새로운 방향으로 전환될 가능성을 암시합니다.

 

이 세 가지 개념은 개별적으로도 유용하지만, 서로 결합하여 사용하면 더욱 효과적인 매매 전략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FVG로 진입 구간을 발견하고, OTE로 최적의 타이밍을 찾으며, BOS를 통해 시장 구조의 변화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활용하면 트레이딩의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FVG, OTE, BOS의 개념을 시각적 보여주는그래프 입니다

 

  • BOS (Break of Structure)
    • 시장이 이전 고점을 돌파한 시점에 주황색 점으로 표시했습니다.
    • 구조가 무너졌음을 시사하는 지점으로, 추세 전환이나 지속 가능성을 암시합니다.
  • FVG (Fair Value Gap)
    • 가격이 너무 빨리 상승하며 형성된 비효율적인 가격 영역입니다.
    • 빨간색 음영으로 표시된 부분으로, 가격이 해당 구간으로 돌아와 메울 가능성이 있습니다.
  • OTE (Optimal Trade Entry)
    • 피보나치 되돌림 구간에서 나타나는 최적 진입 영역입니다.
    • 파란색 음영으로 표시된 부분으로, 시장이 되돌림을 마치고 추세 방향으로 계속 움직이려 할 때의 진입 포인트를 나타냅니다.